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통에 대하여

좋은생각/좋은생각

by 이즈원 2024. 8. 23. 10:37

본문

#소통
#사진앨범(대구국제보디페인팅 촬영분)

우리말엔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비유적인 표현이 참 많으며, 이런 경향은 고시조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상대를 배려하는 선조들의 심성이 직설적 표현보다는 간접적 표현으로 상대가 이해하기를 바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없던 시절 내가 살던 동네에서 흔히 어른들 사이에서 듣던 표현

' 아직(아침) 드셨어요? '

어른들이 아침마다 서로에게 하는 인사였다.

지금 생각해 보면 먹을 것도, 의료시설도 별반 없었던 조그만 시골마을에서 이 인사의 의미는 오늘도 건강하게 뵐 수 있으니 참 좋습니다. 란 비유적 표현이었던 것 같다.
자고 일어나면 비명횡사하던 일이 다반사였던 시절. 이 인사는 '무사히 다시 뵐 수 있어서 다행이다.' 라는 표현이다.


어머니는 어릴 적에 내가 고집을 피우면 망태 아저씨가 몰래 잡아간다고 겁을 주곤 했다.
망태는 과거 고물 같은 걸 줍던 사람이 등에 매던 것으로 아이를 납치해 팔아먹는다는 흉흉한 소문이 돌던 때가 있었다. 코흘리개 아이들에게 그건 두려운 일이었을 거니
하지만 한 번도 잡혀간 적은 없었다.
때로는 그 잔소리가 그리워질 나이가 되었다.

이런 비유적인 표현들은 세월 속에서 모자지간이나, 친구, 지인들 사이에서 서로에게 애정이나 관심을 표현하는 하나의 소통방식이 되었다.


여러 해 전 세바시에서 김창욱 교수가 강연한 내용의 일부이다

밥묵고 차조심하고, 전화세 나온다" 며 끊자는 부모님의 얘기가
"사랑한다 보고 싶구나 바쁘겠지만 시간 내서 한번 오렴"으로 들리는 순간
부모님과의 소통이 비로소 이루어지는 순간이 온 거라는 의미이다

상대방을 이해하려면 그 사람이 쓰는 언어를 관심을 갖고 이해해야 된다. 소통은 거기서부터 시작됩니다.

누구에게나 말 못 할 어려움과 고통은 내재한다. 자신이 아니라 주변 때문에 라도 늘 존재하기 마련이다
옛날 어른들이 서로에게 보였던 정이나 호의는 이런 것들에 대한 배려이다.

요즘의 소위 많이 배우고, 잘 나가고, 한 자리씩이나 한다는 사람들을 보면 그들에겐 이것이 없는 것 같다.
이미 사라져 버린 옛이야기 인 것이다.

그들은 문명의 이기보다 더 많이 이기주의화 되어 있는 건 분명해 보인다.
.


한때 유행했던 대한민국은 안녕하십니까?라는 문구 속에는 정말 살기 힘드니 어떻게 좀 해주세요 라는 국민들의 절규가 담겨있는 것이다.
나는 괜찮지만 내 주변이 이웃이 살기에 불편하다는 의미이다.
참는다는 비슷한 의미의 순응과 순종은 그런 의미에서 다른 것이다.
이해하고 나를 맞추느냐 어쩔 수 없이 복종하느냐는 전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서양의 가면무도회, 탈춤 등은 본래의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자신의 본모습을 그 안에서 분출하는 행위이다. 바디페인팅도 마찬가지다. 신체에 단순히 색을 입히는 게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나타내려는 게 아니라 그 안에 메시지를 담아 대중에게 전달하려는 예술행위인 것이다.
표현의 자유라는게 단순히 개인의 의사를 피력한다는 데에 있어어서 토를 달수는 없으나,모든 행위에는 나 뿐 아니라 다수도 그렇게 생각하고 인정한다는 타당성과 명분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건 그 때 정당성이 생기는 것이다. 언급했듯이 내가 불편하지만 이해하려 한다는 순응과 참을수 없지만 억누른다는 순종은 그런 의미에서 다소 차이가 나는 용어인 것이다.
그게 자발적이냐  수동적이냐 라는 행위의 동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